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컬렉션 프레임워크
- jsoup
- exclusive lock
- 지연로딩
- null/not null
- Shared Lock
- 변수와 상수
- InterruptedException
- SQL
- 참조타입
- 오버로딩
- 즉시로딩
- git 기초
- 연산자와의 관계
- 추상메서드
- foreigen key
- Java
- 멱등성
- 피연산자
- 오버라이딩
- bufferedInputStream
- select
- delete
- 메세지 큐
- 프로그래머스 코테
- N+1
- 프로그래머스
- 서버 스크립트
- 원시타입
- 변수와 메서드
- Today
- Total
목록CS+CodingTest (4)
[JAVA_Back-End]

더보기코테를 준비해야겠다는 생각만 가진 지 어언 3년째....이제는 더이상 물러날 곳이 없다. 진짜 해야한다는 말.각 알고리즘의 실행시간을 비교하여 어떤 알고리즘이 더 우수한 지 파악하는 데에 중점이 있다. (알고리즘 간의 효율성)시간복잡도입력이 커질수록 알고리즘의 실행속도가 어떻게 바뀌는 지 분석함 시간 복잡도의 유형빅-오메가 : 최선일 때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빅-세타 : 보통일 때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빅-오 : 최악일 때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 실행시간이 가질 수 있는 최대치) Big O 표기법?빅오 표기법은 알고리즘 효율성을 상한선 기준으로 표기(알고리즘 효율성은 값이 클수록 즉, 그래프가 위로 향할수록 비효율적임을 의미)* 입력의 크기와 실행시간의 관계* 상수를 없애고 n..
배열 - 메모리의 연속 공간에 값이 채워져 있는 형태의 자료구조 특징 1. 인덱스를 통해 참조할 수 있다. 2. 선언한 자료형의 값만 저장할 수 있다. 3. 새로운 값을 삽입하거나 특정 인덱스에 있는 값을 삭제하기 어렵다. => 값을 삽입하거나 삭제하려면 해당 인덱스 주변에 있는 값을 이동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4. 배열의 크기는 선언할 때 지정할 수 있으며, 한 번 선언하면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없다. ※ 배열은 구조가 간단하므로 코딩 테스트에서 많이 사용한다. 리스트 - 값과 포인터를 묶은 노드라는 것을 포인터로 연결한 자료구조 특징 1. 인덱스가 없으므로 값에 접근하려면 Head 포인터부터 순서대로 접근해야 한다. 2. 포인터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연산속도가 빠르다...
도메인이란? - 인터넷 주소 - 온라인상 위치를 나타내는 인터넷 프로토콜(IP)에 접근하기 위해 영문이나 한글로된 인터넷 주소인 도메인 이름을 사용 ex) google IP : 172.217.3.196 구글 도메인: google.com 탑 레벨 도메인(TLD) - .com, .org, .net등과 같이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는 부분 - 일반적으로 웹사이트의 성격(예: 상업적인, 조직, 네트워크) 또는 소속 국가(예: .uk, .kr)를 나타냄 세컨드 레벨 도메인(SLD) - example.com에서 example과 같이 TLD 바로 앞에 위치하는 부분. - 조직이나 개인의 이름을 나타내며, 도메인의 주요 식별 부분 서브 도메인 - 선택적으로 사용 - 도메인 이름의 가장 왼쪽에 위치 - 가장 일반적으로 ww..

HTTP 요청 메서드 GET은 가져온다는 개념, POST는 수행한다는 개념으로 받아들이자! GET: 서버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줄 때 사용한다. 혹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떠한 리소스부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method라고 할 수 있다. 어떤 값이나 내용, 상태 등을 바꾸지 않는 경우에 사용을 하게 된다. (글 목록 보여주기, 글 내용 보여주기) POST: 서버상의 데이터 값이나 상태를 바꾸기 위해서 사용한다. (글 내용 저장하기, 글 내용 수정하기) PUT, DELETE HTTP 상태 코드 200: 요청이 성공적. 정보는 요청에 따른 응답을 반환함 404: 서버는 요청받은 리소스를 찾을 수 없습니다. 브라우저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URL을 의미함. 서버들은 인증받지 않은 클라이언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