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즉시로딩
- 서버 스크립트
- exclusive lock
- 멱등성
- select
- 메세지 큐
- 연산자와의 관계
- 컬렉션 프레임워크
- 지연로딩
- 참조타입
- 오버라이딩
- jsoup
- foreigen key
- 오버로딩
- delete
- Shared Lock
- 원시타입
- git 기초
- Java
- 변수와 상수
- SQL
- 프로그래머스 코테
- InterruptedException
- null/not null
- 피연산자
- N+1
- 프로그래머스
- bufferedInputStream
- 변수와 메서드
- 추상메서드
Archives
- Today
- Total
[JAVA_Back-End]
JAVA의 타입 본문
728x90
반응형
JAVA의 원시타입(자료형)
1byte = 8bit
크기 | 1 byte | 2 byte | 4 byte | 8 byte |
자료형 | byte | short | int | long |
boolean | char | float | double |
접근 제어자의 종류
private - 해당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 가능
default - 해당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 가능
protected - 상속한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 가능
public - 전체 영역에서 접근 가능
접근제어자를 사용하는 이유?
- 외부에 보여주고 싶은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지 위함(캡슐화)
원시타입과 참조타입
원시타입(Primitive Type)?
- Java에서 8개(위의 표) 밖에 존재하지 않는 타입.
- 실제 데이터(값)을 저장하는 타입
- 멤버변수 초기화 시, 기본 값을 가짐
참조타입(Reference Type)?
- 원시타입을 제외한 타입 = 객체가 생성된 메모리의 주소를 저장하는 타입
- Object클래스이거나 상속하는 클래스들로 이루어짐 (문자열, 배열, 열거형 상수, 클래스, 인터페이스 등)
- Java에서 실제 객체는 JVM 힙 영역에 저장, 참조 타입 변수는 실제 객체의 주소를 JVM 스택 영역에 저장.
- 객체를 사용할 때만다 참조 변수에 저장된 객체의 주소를 불러와 사용
- Object 타입은 null포인터를 가질 수 있음
- 멤버변수의 초기화 시, 참조타입은 null 포인터를 가질 수 있음
ex) Person p = new Person();
p라는 이름의 메모리 공간이 스택 영역에 생성
생성된 p의 인스턴스는 힙 영역에 생성. 즉 스택 영역에 생성된 참조 변수 p는 힙 영역에 생성된 p의 인스턴스 주소 값을 가지게 된다.
728x90
반응형
'Programming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ring / StringBuilder / StringBuffer (0) | 2024.02.26 |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1) | 2024.02.13 |
클래스 / 객체 / 정적(Static) (1) | 2024.02.13 |
[JAVA] 인터페이스 / 추상 클래스 (0) | 2024.02.10 |
어노테이션 / 오버라이딩 및 오버로딩 (0) | 2024.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