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ava
- null/not null
- git 기초
- Shared Lock
- 메세지 큐
- 변수와 메서드
- delete
- 원시타입
- 프로그래머스 코테
- 서버 스크립트
- 프로그래머스
- select
- 멱등성
- jsoup
- 지연로딩
- SQL
- 오버라이딩
- 추상메서드
- 즉시로딩
- 연산자와의 관계
- exclusive lock
- bufferedInputStream
- N+1
- 컬렉션 프레임워크
- 오버로딩
- 변수와 상수
- 참조타입
- InterruptedException
- foreigen key
- 피연산자
- Today
- Total
[JAVA_Back-End]
[Github] 명령어로 코드 관리하기 본문
Github 시작하기
Github에 처음 코드를 업로드 하고 관리하기 위한 단계를 알려주도록 하겠다.
우선, 계정 생성과 로그인이 되어있다는 전제 하에 진행한다.
사용 프로그램: VSCode, git
Repository 생성
Repository name - 생성하고 싶은 Repository의 이름 작성
Public / Private - 생성하는 Repository가 모든 사람들에게 공개하는 지에 대한 여부
이외의 내용들은 선택적으로 설정 가능하다. 작성을 완료한 후 Create repository를 눌러 생성하도록 하자.
Repository에 코드 업로드
! 경로는 업로드 하고자 하는 코드 파일로 설정한다 !
코드를 Repository에 처음 올릴 때, 아래의 순서대로 코드 업로드를 진행하면 된다. (경로 설정한 TERMINAL에 입력)
1. 초기화
$ git init
2. 추가할 파일 더하기
$ git add .
=> add 뒤에 .(점)은 모든 파일이라는 뜻.
=> 선택적으로 올리고 싶은 파일이 있다면 add뒤에 파일 이름을 붙여주자. ex) $ git add index.html
3. 상태 확인
$ git status
4. 히스토리 생성 (= 커밋 메세지 추가)
$ git commit -m "커밋메세지를 자유롭게 작성해주세요"
=> -m은 message를 뜻함
5. Github repository와 로컬 프로젝트를 연결
$ git remote add origin (Repository web URL)
Repository web URL은 Repository안의 Code탭 -> <> Code클릭 후 Clone에서 HTTPS URL 주소를 복사하여 넣으면 된다.
6. 연결 확인
$ git remote -v
7. Github로 올리기
$ git push origin 브랜치이름
커밋한 내용을 push를 통해 업로드할 수 있으며, 브랜치 이름에는 내가 생성한 브랜치 이름을 넣도록 한다.
근데... 브랜치가 뭐야...?
Branch (브랜치)
Repository를 만든 직후에는 main(=master) 브랜치만이 존재할 것이다.보편적으로 main브랜치는 프로젝트의 최최최최최최종. 즉 real project이기 때문에, 실제 배포할 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오류가 생겨서는 안된다.
팀 단위 프로젝트를 할 때에는 나만의 브랜치를 새로 만들어 내 코드를 업로드 하도록 하자.
브랜치 생성
$ git checkout -b 생성할 브렌치 이름
나만의 브랜치를 생성 후에 상단의 7.Github올리기를 통해 해당 브랜치 이름을 입력하고 push를 진행하면 된다.
아무리 혼자 진행하는 프로젝트라도 브랜치를 생성하고 프로젝트를 모듈별로 나눠 관리하는 습관을 길러보자.
Github에 계속적으로 업데이트하기
초기 commit으로 업로드 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수정된 내용을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해야한다.
이 세 단계만 기억하자.
1. 추가할 파일 더하기
$ git add .
2. 히스토리 만들기(=커밋메세지)
$ git commit -m "commit message"
3. Github로 올리기
$ git push origin 브랜치이름
Github로 팀프로젝트 하기
만약, 내가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을 경우에 프로젝트 소스코드를 로컬에서 확인하고 수정하고 싶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자.
1. Github에서 소스코드 다운로드
$ git clone (Repository web URL) 폴더이름
- Repository web URL은 Repository안의 Code탭 -> <> Code클릭 후 Clone에서 HTTPS URL 주소를 복사하여 넣으면 된다.
- 폴더이름은 코드들이 어떤 이름의 폴더에 들어갈 지 정하는 것이며, 아무것도 적지 않으면 프로젝트 이름으로 자동 생성된다. (선택사항이라는 뜻)
2. Github에서 내 브랜치 만들기
(위 내용 참고)
3. 내 브랜치에 소스코드 업데이트하기
(위 내용 참고)
4. main 브랜치의 소스 가져오기(pull)
- 만약 main 브랜치(=최종 브랜치)에 다른사람이 커밋한 내용이 반영되었을 경우 내 브랜치에도 해당 내용을 갱신하려면 소스를 pull하여 가져와야 팀원 간의 소스 내용이 같아질 것이다.
$ git pull origin main
=> pull 전에는 기존에 소스코드 commit을 먼저 해놓아야 한다. (무조건)
+) 브랜치 변경/이동
$ git checkout 이동할 브랜치이름
이처럼 기본적인 명령어들을 통해서 협업이 가능하므로 최대한 익숙하게 사용해보길 바란다.
'Utilities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error: src refspec main does not match any (0) | 2024.03.25 |
---|---|
[Github] Make sure you configure your 'user.name' and 'user.email' in git (0) | 202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