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 Hyper text : 링크
- Markup Language : 태그를 이용해서 내용을 표현
- 웹 화면을 구성하는 언어 / 팀 버너스리 invented
1. html - 구조표현
2. css - 디자인
3. javascript - 기능표현
기본 구조
* 태그: <태그>내용</태그>
w3c - world wide consortium
https://www.w3.org
- 웹에 대한 표준을 정함
- 문법이 아닌 권고안이기 때문에 브라우저 제작업체 별로 다른 해석(MS)이 가능함.
- 따라서 같은 태그에 다른 디자인이 나오게 되는 것
- 크로스 브라우징(Cross Browsing): 적어도 표준 웹 기술을 채용하여 다른 기종 혹은 플랫폼에 따라 달리 구현되는 기술을 비슷하게 만듦과 동시에 어느 한쪽에 최적화되어 치우지지 않도록 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
- 버전이 지속적으로 향상된다. (html1.0 => html 5) (굉장히 빠르게,,)
- https://www.w3schools.com/ : html/css/javascript관련 정보나 예제를 얻을 수 있다.
(태그 관련 내용 담은 사이트) (다른 언어 내용들도 포함되어있음,,JAVA,,PHP등,,) (이 사이트 좋은듯;;)
*HTML Introduction
- https://html5test.com
html이 만들어지게 된 계기 -> 팀 버너스리가 논문을 표현하는 방법을 찾다 만들게 됨 (메모장/워드같은 역할)
*중요
HTML stands for Hyper Text Markup Language
HTML is the standard markup language for creating Web pages
HTML describes the structure of a Web page
브라우저
- 원격에 있는 html문서를 요청
- html을 해석해서 디자인화 (랜더링)
html문서
1. 일반문서에 확장자 html 또는 htm으로 지정
2. html기술
*대소문자 구별안함
*잘못써도 에러없음(디자인 표현이 안됨)
기본 골격
<!doctype html> --> html5 버전임을 기술
<html>
<head>문서 전체 규정 </head>
<body> 내용 </body>
</html>
==> html은 감싸는 형태로 룰을 정해서 작성하도록 한다.
HTML 태그
ex1) - 기본골격
<!DOCTYPE html>
<html>
<head>
</head>
<body>
Hello html
</body>
</html>
ex2) - 타이틀 생성
<!DOCTYPE html>
<html>
<head>
<title>나 타이틀</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안녕 html
</body>
</html>
ex3) - 주석처리
<!DOCTYPE html>
<html>
<head>
<title>나 타이틀</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주석입니다: comment
1. 소스코드 해설
2. 팀간의 소통-->
<!--안녕 html<br /><br />
안녕 html1<br /><br />
안녕 html2<br /><br />
안녕 html3<br /><br /> 여러 줄 주석입니다-->
안녕 html4<br /><br />
안녕 html5<br /><br />
</body>
</html>
ex4) - 엔터키와 스페이스바 적용법
<!DOCTYPE html>
<html>
<head>
<title>나 타이틀</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 엔터키: <br/> -->
<!-- 스페이스바: -->
안녕 h t m l 4 <br /><br />
안녕 h t m l 5<br /><br /> <!-- 스페이스바를 두개를 넣어도 하나만 적용이 된다. -->
안녕 h t m l 6<br/><br/>
</body>
</html>
ex5) - 글자크기 조정
<!DOCTYPE html>
<html>
<head>
<title>나 타이틀</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
제목글
h1...h6
h숫자 -> 글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if h7을 적으면 -> 존재하지 않는 태그는 무시당하게 된다. (기본글씨크기로 나옴)
-->
<h1>Hello html</h1>
<h2>Hello html</h2>
<h3>Hello html</h3>
<h4>Hello html</h4>
<h5>Hello html</h5>
<h6>Hello html</h6>
<hx>Hello htmlhx</hx>
</body>
</html>
ex6) - 중간선 생성 <hr />
<!DOCTYPE html>
<html>
<head>
<title>나 타이틀</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
중간선
-->
Hello html<br />
<hr />
Hello html<br />
</body>
</html>
ex7) - 문단 나누기 <p>, <div>, <span>
<!DOCTYPE html>
<html>
<head>
<title>나 타이틀</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
문단(블록)- 문단의 형식에 관련한 태그
-->
<p>새문단</p> <!--문단사이 엔터가 만들어지는 문단 나누기-->
<p>새문단</p>
<p>새문단</p>
<p>새문단</p>
<p>새문단</p>
<div>다른문단</div> <!--문단끼리 붙어있음-->
<div>다른문단</div>
<div>다른문단</div>
<span>또다른문단</span> <!--문단끼리 이어져있음-->
<span>또다른문단</span>
<span>또다른문단</span>
</body>
</html>
ex8) 인용태그 <blockquote>, <pre>
<!DOCTYPE html>
<html>
<head>
<title>나 타이틀</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
문단(블록) - 인용할 때 쓰이는 태그
엔터키
<blockquote>
<pre>
-->
<p>
새문단
새문단
새문단
</p>
<blockquote>
새문단
새문단
새문단
</blockquote>
<pre> <!--<pre></pre>안에 있는 내용을 작성된 그대로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태그-->
새문단
새 문 단
새 문 단
</pre>
</body>
</html>
ex9) - 글씨테마적용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head>
<body>
<p>This Text is normal</p> <!-- 기본글씨 -->
<p><b>This Text is normal</b></p> <!-- 굵은글씨 -->
<p><i>This Text is normal</i></p> <!-- 기울어진글씨 -->
<p>This <sub>Text</sub> is <sup> normal</sup></p> <!-- sub은 아래첨자 sup은 윗첨자 -->
</body>
</html>
ex10) - 목록생성 <ol>, <ul>, <dl>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head>
<body>
<!-- 목록
1. 순서가 있는 목록
2. 순서가 없는 목록
3. 사전식 목록
-->
<!--속성 attribute 이탤릭 숫자로 바꾸고 싶을 때 그리고 숫자 5부터 세고 싶을 때 붙임-->
<ol type="i" start="5">
<li>사과</li> <!--순서가 있는 목록-->
<li>참외</li>
<li>딸기</li>
<li>수박</li>
</ol>
<!--속성 attribute-->
<ul type="square">
<li>사과</li> <!--순서가 없는 목록-->
<li>참외</li>
<li>딸기</li>
<li>수박</li>
</ul>
<dl>
<dt>사과</dt> <!--사전식 목록 dl/dt/dd-->
<dd>사과는 맛있다</dd>
<dt>참외</dt>
<dd>참외는 더 맛있다</dd>
<dt>수박</dt>
<dd>수박은 완전 맛있다</dd>
</dl>
</body>
</html>
ex11) - 하위목록 생성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head>
<body>
<!-- 목록안에 하위목록 만들기
-->
<ul>
<li>Coffee</li>
<li>
<ul>
<li>Black Coffee</li>
<li>Latte</li>
</ul>
</li>
<li>Coffee
<ul>
<li>Black Coffee</li>
<li>Latte</li>
</ul>
</li>
</ul>
</body>
</html>
ex12) - 표만들기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head>
<body>
<!-- 표만들기
*표: table <table>
행<tr>
열<td>
-->
<table border="1" width="800" height="200">
<tr>
<td width="50" height="100">1행 1열</td> <!--특정부분만 크기에 영향을 주면 제일 큰 값으로 그 하위에 있는 표들도 영향을 받게 된다.-->
<td width="150">1행 2열</td>
<td width="100">1행 3열</td>
</tr>
<tr>
<td>2행 1열</td>
<td>2행 2열</td>
<td>2행 3열</td>
</tr>
<tr>
<td>3행 1열</td>
<td>3행 2열</td>
<td>3행 3열</td>
</tr>
</table>
</body>
</html>
ex13) - 표 크기 정하기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head>
<body>
<!-- 표만들기
*표: table <table>
행<tr>
열<td>
-->
<table border="1" width="800" height="200">
<tr>
<th>1행 1열</th> <!--th를 주면 표의 머리글이 된다-->
<th>1행 2열</th>
<th>1행 3열</th>
</tr>
<tr>
<td align="center">2행 1열</td>
<td align="left">2행 2열</td> <!--align를 주면 표안의 글의 위치가 변경이 된다-->
<td align="right">2행 3열</td>
</tr>
<tr>
<td valign="top">3행 1열</td> <!--valign을 주면 표안의 글의 위치가 변경이 된다-->
<td valign="middle">3행 2열</td>
<td valign="bottom">3행 3열</td>
</tr>
</table>
</body>
</html>
=> 상위 13개의 태그들로 기본적인 문서 작성이 가능하다.